매월 구글 검색 실적 리포트 내용을 정리해서 올리고 있습니다. 정리해서 올리다 보면, 그 과정을 통해 티스토리 운영에 대한 팁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입니다.
실적 내용을 올리면서, 간단히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에 있는 방문 통계 정보를 함께 언급합니다. 전체 방문 유입이 어떻고, 방문 유입 중 검색을 통한 유입의 비중은 얼마 정도이다 하는 내용입니다. 올린 글에 대한 댓글 내용 중 숫자는 숫자일 뿐이라는 내용이 있어 간단히 제가 보는 내용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2020년 3월 티스토리를 시작하고 현재까지의 월별 방문 현황입니다. 2020년 3월부터 7월까지는 방문 증가가 꾸준히 일어났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8월 여름에 확 줄었다가 아주 조금 나아진 상태에서 변화 없이 고만고만한 상황입니다.
이 글을 쓰는 오늘 날짜 기준으로 2월의 3분의 1이 지났는데 그래프를 보면, 지난달 방문의 30%가 안되니 이번 달 방문 유입도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
다 아시겠지만, 위 정보는 관리자 메뉴 > 방문 통계 메뉴를 선택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프로 보이는 현황 정보 오른쪽 위에 있는 "일간/주간/월간" 버튼 클릭을 통해 일자별, 주간별, 월별로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검색을 통한 유입, 잘 안 보이지만 초록색이 SNS를 통한 유입, 회색이 직/간접 유입을 의미합니다. 직/간접 유입은 티스토리 내 방문 또는 티스토리 URL을 직접 입력하여 방문하는 경우입니다.
방문 통계 그래프 아래에, 이미지에 보이는 것처럼, 검색, SNS, 기타 등의 항목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가장 최근 데이터가 나타나지만, 방문 통계 그래프에서 현재 선택된 설정에 따라 특정 일/주/월을 선택하면, 해당 일/주/월에 유입된 검색, SNS, 기타 항목의 방문 숫자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프를 통해서도 대략의 검색 유입 비중을 알 수 있지만, 변화 추이가 크지 않을 때는 그래프를 통해서는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간단하게 엑셀 파일을 이용합니다. 아래와 같은 표에 방문수(전체), 검색을 통합 방문 수, SNS 방문수를 입력합니다. 해당 항목이 조금 짙은 회색으로 표시된 항목입니다. 해당 항목을 입력하면 기타 직간접을 통한 유입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그리고 전체 방문수에서 검색에 의한 유입이 몇 %를 차지하는지, 지난달 대비 이번 달은 증가하였는지 감소하였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숫자는 제가 임의로 입력한 값입니다. 이렇게 간단히 숫자를 통해 추이를 보면, 그래프로는 조금 알기 어려운 세부적인 유입 동향을 알 수 있습니다.
유입 동향을 안다고 하더라도 운영에 크게 영향을 주긴 어렵습니다. 다만, 검색에 의한 유입이 늘고 있는지, 줄고 있는지 확인을 통해 그래도 같은 글을 쓰더라도 키워드를 한 번 더 생각해보는 노력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별 것 아니지만, 엑설 파일을 첨부하오니, 필요하신 분은 다운로드하여 사용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관리자> 방문 통계 메뉴에서 월간 방문수, 검색 수, SNS 수를 입력하면 다른 수치는 계산됩니다.
관련 글]
2021/02/09 - [나의 삶/애드센스 관련] - 티스토리 운영현황 - 2021년 1월 구글 검색 실적
2020/12/13 - [나의 삶/애드센스 관련] - 티스토리 "스토리" 메뉴에 공개되는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