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썸네일형 리스트형 크리스마스네요... 어떻게 시간이 흘렀는지 모르겠는데 어느덧 12월이 되더니 크리스마스네요. 늘 비슷한 생각이 들지만 올 해는 더 그런 것 같습니다. 정신없이 지나간 올 한 해를 어떻게 보냈는지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2021년이라는 숫자도 아직 어색한데 벌써 새로운 숫자인 2022에 익숙해져야 하네요. 잠시 힒듬과 어려움은 잊고 기분 좋은 시간을 보내며, 올 한해 마무리할 힘을 내시길 응원합니다. 카톡 해시태그 검색(# 검색)에 있는 크리스마스 카드 이미지로 인사 드립니다. 관련 글] 2021.09.20 - [아이 교육] - 카톡의 멀티프로필 2021.07.16 - [나의 삶/일상을 보내며] - 카카오톡 괄호 ( )를 이용한 이모티콘 보내기 2021.05.12 - [나의 삶/일상을 보내며] .. 더보기 백신예약 시스템을 통한 중학생 백신 예약 중학생인 딸아이의 백신 접종은 상황을 좀 지켜보고 있는 중이었습니다. 사춘기가 되어 그렇지 않아도 신체적 변화가 많은 시점인데 백신으로 인한 자극을 주기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학생 접종을 안 하기 어려운 환경이 되어 아이와 상의 끝에 백신 접종 예약을 했습니다. 학교 친구들 중 이미 완료한 친구도 있고, 저희처럼 상황을 지켜보다가 이제 1차를 맞은 친구도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해외에 있는 친구들은 모두 백신을 완료한 상황이라 아이도 그냥 맞아야겠다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엄마인 저는 아이가 성장기인데 상황이 이렇게 되어 사실 좀 마음이 불편한 부분이 있습니다. https://ncvr.kdca.go.kr 를 통해 대리 예약을 진행했습니다. 딸아이 예약이라 제일 상단에 본인/대리 구분 부.. 더보기 중학생의 인스타그램 사용 딸아이가 약 한 달 전 인스타그램을 사용하고 싶다는 요구를 하였습니다. 친구들은 대부분 한다고 하면서요. 친구들과 이야기 나누고 눈높이 맞추는데 필요하다는 요구였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부모에게 무언가를 요구할 때, 친구들은 다 하는데 나만 못한다는 말을 많이 한다고 하지요. 처음엔 정말 그렇게 많이 할까 싶은 마음도 들고,,, 소설미디어의 문제점도 많이 아는 터라 쉽사리 허락의 말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진중하게 생각해 보겠다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언제까지 답을 주실 거냐고 묻더군요. 이럴 때만 계획적이고 집요합니다. ㅠㅠ 11월 초였는데 그 달 말까지 정말 신중하게 생각해보겠다고 답을 했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도 인스타그램을 사용할 때 생각되는 문제점과 그 문제를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해 생각해보라.. 더보기 코로나 추가접종 예약 사칭 문자 주의 주의 안내 문자를 받았습니다. 최근 노령층에 대해 코로나 19 백신 추가 접종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가 뉴스에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 분위기를 이용해 코로나19 추가 접종 사전 예약 안내를 사칭하는 문자로 인한 피해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 피해 사례 - 교통 법규 위반 처리,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교통 범칙금 요금안내서 발송 사칭 - 국민건강검진 통지서, 무료 암 검진 안내 사칭 -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추가 접종 사전 예약 사칭 이 경우, 개인 정보 유출이나 휴대폰 악성 앱 설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 대처방법 - 교통 법규 위반 안내 및 국민건강검진 안내 메시지에 인터넷 주소(URL)가 있는 경우, 절대 해당 URL을 누르지 마세요. : 실제 교통 민원 및.. 더보기 핸드폰 흔들어서 카톡에서 QR코드 불러오기 요즘은 어디든 입장을 위해서는 QR코드를 등록을 하던가 해당 업장에서 제공되는 번호로 전화를 걸어 출입 등록을 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QR체크인 메뉴를 이용해 QR코드를 불러오는 방법을 사용하실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예전엔 그냥 웹에서 불러왔는데 백신 정보 연동되는 것 확인을 위해 카톡을 이용해 보고 요즘은 카톡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1.09.16 - [나의 삶/일상을 보내며] - QR체크인에 접종 정보 불러오기? 그런데 카톡에서 QR코드를 불러오는 것도 꽤 번거롭다고 느껴지기도 합니다. 카톡 앱을 열면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 나눈 채팅 목록 화면이 열리는 게 보통입니다. 그러면 화면 하단에 있는 '· · ·' 더보기 메뉴를 선택하고, 더보기 화면 상단에 지갑 메뉴.. 더보기 카톡의 멀티프로필 딸아이가 카톡에서 대상에 따라 프로필을 다르게 설정하는 기능을 사용하고 싶다고 합니다. 친구는 여러 프로필을 설정해서 사용하는데 자신은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왜 할 수 없는 것인지 물어보니 '카톡 지갑'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멀티 프로필이 가능한데 본인은 카톡 지갑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안된다는 것입니다. '카톡 지갑'이란 기능에 대해 살펴보니 본인 인증 과정을 거쳐 결제, QR 코드와 같은 본인 인증, 디저털 ID 발급 등 말 그대로 우리가 지갑에 넣어 가지고 다는 신분증, 카드 등의 기능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결제 등 예민한 기능은 추가로 동의 과정이 필요한 부분이라 카톡 지갑 기능을 열어줘도 괜찮을 것 같아 해당 기능을 열어 주었습니다. 먼저 아이 본인의 생일 정보, 통신사, 핸드폰 번호 .. 더보기 카카오톡 괄호 ( )를 이용한 이모티콘 보내기 괄호 이모티콘 보내는 방법 딸에게 배우는 카톡 사용법 2탄입니다. 예전에 해시태그 (#) 검색을 이용해 이미지 보내는 방법에 이어 또다시 배우게 된 내용이라 저 혼자 2탄이라 적어봅니다. ^^ 2021.05.12 - [나의 삶/일상을 보내며] - 카카오톡 해시태그 (#) 검색으로 재미난 톡 이미지 보내는 법 카카오톡 해시태그 (#) 검색으로 재미난 톡 이미지 보내는법 딸아이가 친구들과 카톡 이야기 나누는 모습을 보면 이미지를 매우 많이 사용하는 모습을 봅니다. 도대체 그 이미지들은 어떻게 찾아서 그렇게 많이 이용하는지 물어보니 해시태그 검색을 통해 lentamente.tistory.com 저도 친한 사람들과 이야기 나눌 때는 웃는 이미지나 엄지 척 같은 이미지의 이모티콘은 자주 사용하는 편입니다. 이모티.. 더보기 '중1 남학생,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 늘었다' 기사를 보고 여성가족부가 지난 3월부터 한 달간 전국 학령전환기 초4, 중1, 고1 학생 약 127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1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 습관 진단 조사' 결과 약 22만 명이 '과의존 위험군'으로 진단을 받았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았습니다. 과의존 위험군이란 금단 현상까지 보이는 '위험사용자'와 자기 조절이 어려워 주의가 필요한 '주의사용자'군을 합친 것이라 합니다. 특히 올해 조사에서는 중1 남학생 과의존 위험군이 전년 대비 가장 늘어났다고 합니다. 학년별로 보면,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중학교 1학년이 8만 5천731명으로 가장 많았다고 합니다. 전년보다 1.5%(1천269명) 증가한 수치라고 하네요. 고 1학년은 7만 5천880명으로 지난해보다 2.6%(2천4명) 감소했고..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