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 교육

자기주도학습 - 시간관리 원칙 자기주도학습 - 학습계획, 시간관리 원칙 자기주도학습 수강 내용 중 학습 계획, 시간 관리 원칙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 시간 인식 "관리"라는 것은 내 의도가 생기면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시간 관리도 시간에 대한 인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본인의 시간 사용 상태를 체크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 시간 또는 30분 단위로 하루의 일과를 표시할 수 있는 일과표에 수면, 식사, 학습, 휴식 등 일과를 표시합니다. 뭘 했는지 잘 모르겠는 부분은 그냥 빈칸으로 두도록 합니다. 이렇게 작성한 시간표를 보면, 의외로 무엇을 하며 보냈는지 모르겠는 시간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대로 된 시간 관리를 위해서는 충분히, 계획적으로 휴식 - 생각 없이 지나가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반.. 더보기
학교 수업 성공원칙 자기주도학습 수강 내용 중 학교 수업의 중요성과 학교 수업을 잘 듣기 위한 방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 학교 수업의 중요성 학교에 가는 것과 학교에서 진행하는 교과 과정을 이수한다는 것은 다른 의미라는 것을 먼저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학교에 가는 것은 그저 물리적 행동이고, 수업에 집중하여 충실히 과정을 듣고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진정한 교과 과정 이수라는 것입니다. 사실 누구나 알고 있는 간단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또 쉽게 간과하는 일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교과 과정은 해당 연령 아이들의 발달 상황에 맞춰 계획된 과정으로 자기 연령에 맞는 학습 과정(학교 수업)을 따라가는 것이 자기 주도 학습의 중심이라는 것입니다. 수업 내용을 기준으로 예습/복습의 틀이 만들어지고, 취약 부분 보완과 심화.. 더보기
독서 습관 잡힌 딸 - 내가 했던 것은? 지난번 "자기주도학습 - 부모가 주는 영향" 강의에서 부모가 줄 수 있는 중요 영향 중 하나가 독서 습관이라는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다행스럽게도 딸아이는 책 읽기를 아주 좋아하는 아이입니다. 독서 습관을 잡아주기 위해 독서 분위기를 유도해주라는 강의 내용을 보고, 난 어떠했던가 한 번 되돌아보았습니다. 사실 전 독서 습관 잡기라는 목표를 가지고 체계적으로 무언가를 열심히 한 것은 아닙니다. 창피할 수도 있지만, 조금은 적당히, 조금은 게으르게 아이를 키웠던 것 같습니다. 맞벌이를 했다는 핑계를 댈 수도 있겠지만, 그것보다는 저의 성향 탓이 컸다는 게 진실일 것 같습니다. 지금도 전 희생적인 엄마라기보다는 내가 되돌려 받을 기대 없이 딱 주는 기쁨에서 끝날 정도의 모습인 것 같습니다. 내 입도 입이라고 .. 더보기
자기주도학습 - 부모가 주는 영향 지난 글에서 자기주도학습으로 변화할 시기에 대해 정리하였는데, 오늘은 부모가 자기 주도 학습을 하려는 자녀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정리는 제가 들은 온라인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1) 정서 조절 사춘기 시기의 자녀들은 왕성하게 분비되는 성장 호르몬으로 감정의 중추인 편두를 자극받는데, 감정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편두엽은 아직 발달 과정에 있어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는 감정을 조절하는 정서조절 능력에 비례해 학습 성과도 나옵니다. 다행히, 감정을 다스리려고 노력하는 과정에 뇌의 통제, 조절 기능을 쓰면, 전두엽이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심화, 발전시키기 때문에 점점 정서 조절이 편하게 된다고 합니다. 처음은 어렵겠으나, 반복적으로 노력하.. 더보기
자기주도학습 언제부터? 자기주도학습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도대체 언제부터 시작해야 하는 걸까요? 자기 주도가 중요하다고 아이에게 "네가 알아서 해라." 하면 또 방임일 수도 있다고 하는데. ㅠㅠ 부모님의 자세가 변화되어야 하는 시기가 언제인지, 어떤 도움을 주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자기주도학습을 시작할 변화 시기 보통 사춘기가 시작하는 무렵인 초등 5학년 전후로, 아이 행동에서 변화를 시작해야 하는 징후들이 감지된다고 합니다. 1) 정해진 규칙을 지키다가 귀찮아함 초등 저학년 정해진 분량의 독서나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의 문제집 풀기 등 부모님이 정해준 규칙을 잘 따르다가, 어느 순간 귀찮아하고, 하기 싫어하는 시점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마지못해 시킨 일을 하더라도 문제집 문제를 대충 푼다거나 답안지의 답을 보고 적는다.. 더보기
자기주도학습이 필요한 4가지 이유 자기주도학습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왜 필요한지에 대한 4가지 이유를 설명한 강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학생이 원한다 (내가 알아서 해!!) 자녀가 커가면서 옷 입기나 친구 사귀기를 마음대로 하고 싶은 것처럼, 독립된 인격체로 자라게 되면서 학습에 대해서도 알아서 하고 싶어하는 감정을 갖게 되는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내가 알아서 해보겠다는 의지는 강한 반면, 실제로 조절 능력은 부족한 상황이라 제대로 해내지 못하는 자신에게 실망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적당한 힌트를 주고, 방향을 잡아주고, 마무리까지 해나갈 수 있도록 격려와 도움을 주는 것이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되겠습니다. 2. 성공의 방법을 배운다. 자기주도학습 과정을 통해 스스로 계획하고, 계획한 내용을 실행.. 더보기
자율과 방임의 차이 예전에 소개했던 학부모On누리 사이트에서 동영상 강의를 하나 들었습니다. 그중 자율과 방임의 차이에 대한 강의가 예시로 주어져 조금 혼란스러울 수 있는 부분을 잘 설명해주는 것 같습니다. 에피소드] 초등 아들이 학교에 다녀와서 게임을 하고 있습니다. 엄마가 남편에게 아이가 너무 오래 게임을 하고 있으니, 이야기 좀 해보라고 합니다. 남편은 그냥 두라며, 저렇게 하다 혼도 나고 해야 자기 스스로 깨닫고 결정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 상황이 자율에 맡기는 것인지,,, 방임인지 묻습니다. 답은 방임입니다. 자율과 방임을 혼동해서 부모가 자기도 모르게 아이를 방임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방치하는 것만이 방임이 아니고, 규율이 없는 제멋대로의 자유 허용도 방임이라고 합니다. 자율이란 정해진 .. 더보기
초등생을 위한 온라인 뉴스 아이가 조금씩 커가며 뉴스에 나오는 얘기도 나누고 하면서 어린이를 위한 뉴스 사이트를 찾아보았습니다. Time for Kids라는 초등생을 위한 영어 신문 사이트가 있네요. 아이들 수준에 맞춰 kinder/1학년, 2학년, 3/4학년, 5/6학년 구분 지어 각 수준에 맞는 뉴스를 제공합니다. 5/6학년을 선택해서 들어가니 요즘의 코로나 사태로 인해, 집에 머무르는 내용에 대한 기사 타이틀이 보입니다. 화면 구성이 대표 이미지와 함께 타이틀이 나열되는데, 편집이나 내용이 아이들이 호기심을 가질만하게 적당한 크기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광고 링크 없이 기사만 깔끔하게 제공되어 좋다는 느낌이 듭니다. 현재 찾아본 우리나라 사이트로는 어린이 조선, 어린이 동아 등의 사이트가 있습니다. "치타처럼 달린다. 소프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