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 교육

내 아이의 뇌에 어떤 스토리를 심을 것인가? 서울시교육청에서 코로나 19로 지친 학부모에게 전하는 생활 교육 메시지를 담아, 세바시 방송팀과 협력하여 "학부모를 위한 자녀 생활교육 특집 강연회: 부모는 아이의 첫 번째 학교입니다." 내용을 지난번에 소개했습니다. 그때, 소개한 내용은 "코로나로 아이들이 잃은 것들"의 저자이자 정신과 전문의 김현수 선생님의 강연 내용입니다. 2020/12/05 - [아이 교육] - 요즘 아이들이 자신을 사랑할 수 없는 이유? 요즘 아이들이 자신을 사랑할 수 없는 이유? 학부모를 위한 자녀 생활 교육 특집 방송 안내란 제목을 가지고 학교에서 가정통신문이 왔습니다. 서울시교육청에서 코로나 19로 지친 학부모에게 전하는 생활 교육 메시지를 담아, 세바시 방송 lentamente.tistory.com 이번에는 장동선 뇌과학.. 더보기
요즘 아이들이 자신을 사랑할 수 없는 이유? 학부모를 위한 자녀 생활 교육 특집 방송 안내란 제목을 가지고 학교에서 가정통신문이 왔습니다. 서울시교육청에서 코로나 19로 지친 학부모에게 전하는 생활 교육 메시지를 담아, 세바시 방송팀과 협력하여 "학부모를 위한 자녀 생활교육 특집 강연회: 부모는 아이의 첫 번째 학교입니다."를 개최한다는 것입니다. 그중 "코로나로 아이들이 잃은 것들"의 저자이자 정신과 전문의 김현수 선생님의 강연 내용입니다. ● 코로나 시기 아이들이 힘든 이유 1. 내 존재감이 희미해져요. 2. 잔소리가 지겨워요. (등 펴라, 핸드폰 치워라... ) 3. 규칙적이지 못한 생활 (2주 가고, 1주 쉬고 하는 등 불규칙한 생활에 혼자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부담) 4. 아무것도 한 게 없다고 한다. 코로나 시기에 외로워지고 단절되.. 더보기
영어] 쌍둥이 남매의 모험 "The land of stories" 딸아이는 신화, 판타지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해리 포터 책도 여러 번 읽었고, 퍼시 잭슨 시리즈도 거의 다 읽었습니다. 퍼시 잭슨과 같은 판타지, 신화 종류의 이야기를 좋아하는 딸에게 학교 영어 선생님이 "The land of Stories" 책을 추천하셨다고 합니다. 어떤 책인지 몰라서, 책에 대한 리뷰 평가가 있는 CommonSenseMedia 사이트에서 찾아보니, 평이 나쁘지 않습니다. (미디어, 책 등 콘텐츠 리뷰를 제공하는 CommonSenseMedia 사이트에 대한 설명은 이전에 올린 글을 참고해 주십시오. - 2020/04/02 - [아이 교육] - 아이에게 적합한 "컨텐츠 리뷰" 제공 사이트 소개 ) "The land of stories"는 Chris Colfer 작가의 작품으로, .. 더보기
중1 신입생 가이드북 아이 책을 하나 샀는데, 무료 사은품으로 준다는 가이드북을 받았습니다. 제목이 "중1 신입생 가이드북"입니다. 중학생이라고 하니 초등학생이라는 느낌과는 확연히 다르게 아이가 커가는구나 싶습니다. A5 사이즈보다 작은 소책자 크기 정도의 얇은 안내 책자입니다. 그림과 함께 귀엽게 핵심 내용만 요약되어 있어 공유해봅니다. ● 중학 생활을 좌우하는 자유 학년제 대비 방법 ① 줄어든 교과 시간에 대비한 예. 복습 습관을 가지자. - 줄어든 교과 시간으로 인해 빠르게 진도 나가는 교과에 대해, 예. 복습을 통한 수업 이해가 중요합니다. ② 자율활동 시간을 활용한 진로탐색에 집중하자. - 주어지는 자유 학년제 시간을 활용하여, 진로를 발견하고, 공부 동기와 흥미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③ 참여형 수업 역시, 완벽한.. 더보기
학교폭력, 부모의 철학과 교육태도 유튜브에서 세바시 강연, "학교폭력, 부모의 교육철학과 태도"란 제목으로 최성애 HD행복연구소 소장님이 발표하시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학교 폭력. 왕따란? 누군가를 의도적으로 반복적으로 위협하고, 해치고, 불편하게 하고, 마음에 상처를 주는 행위 학교 폭력은 누구나 그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어디부터가 폭력인가라는 인식의 차이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폭력 지수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안타깝게도 현실에선 그저 "사이좋게 지내라." "곧 나아지겠지."라는 말과 함께 무시되다 폭력 지수 7단계나 8단계 정도 되어야 관심을 갖게 되는 사정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단계는 이미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에게 안 좋은 영향이 많이 발생한 상태로, 화재도 초기 진압이 중요하듯 폭력도 1단계부터 관심.. 더보기
불합격의 경험 아이랑 의논을 해서 국제중학교 지원을 했었습니다. 아무래도 영어를 계속 사용하면서 배우고 싶어 하고, 스페인어도 계속 유지하고 싶어 하는 데다, 수업 방식도 해외에서 다니던 학교처럼 프로젝트 단위의 토론 수업이 많다고 하기에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서울에 있는 국제중학교는 모두 100% 추첨제 선별 방식이었습니다. 전적으로 입학 여부가 운에 맡겨지는 셈입니다. 혹시 모르니 지원은 해보자 해서 지원을 했습니다. 서류 마감이 끝나고 경쟁률이 15:1이라 합니다. ㅠㅠ 24일이 그 추첨일이었습니다. 오후 6시 발표라고 공지가 나왔는데 오후 내내 시계를 보며 기대 반 긴장 반의 모습으로 궁금해하며 기다렸습니다. 치열한 경쟁률 탓인지 당첨이 되지 않았습니다. 아이는 처음으로 뭔가 불합격의 느낌.. 더보기
코로나 시대 - 10대들이 호소하는 어려움 300명 넘게 나오는 확진자가 걱정되어 서울시 홈페이지 자료를 보다가 코로나 시대에 10대들이 느끼는 어려움에 대한 내용이 있어 살펴보았습니다.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코로나 시기에 아이들도 여러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장기화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으로 인해 청소년기 특유의 외로움 등으로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어른들이 가볍게 내뱉는 학교도 안 가고, 스마트폰이나 하면서 놀고 지내니 좋겠다는 말로 아이들은 쉽게 상처 받는다 합니다. 아이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대응 방안에 대해 소개한 자료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아이들이 겪는 어려움 1. 사회적 단절 - 외로움 - 친구를 만나지 못하는 사회적 만남 박탈 - 존재감에 대한 걱정.. 더보기
메타인지 - 내 안의 가능성(용기)를 끌어내는 힘 메타인지. 세바시 강연에서 리사 손 교수님이 강연하신 내용입니다. 리사 손 교수님이 학생 때, 대학 수업에서 어떤 아이디어가 떠올라 의견을 얘기했는데, 바로 다른 누군가가 "그건 아닌 것 같은데."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우리 모두 상상할 수 있듯이 그렇게 의견이 거절당하면, 순간 당황하고 불편한 마음이 듭니다. 리사 손 교수님도 그랬다고 합니다. 그 거절의 말을 들은 이후론 수업 시간에 다른 이야기는 귀에 들어오지도 않고, 그러니 학습도 안되고, 다시는 말하지 말아야지 하는 생각만 머릿속에 들었다는 것입니다. 리사 손 교수님조차도 학생 때는 용기 있는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렇게 거절당하는 순간에 진정한 "용기"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어쩌면, 리사 손 교수님 본인은 모범적으로 공부.. 더보기